정치경제

정치·경제 흐름을 깊이 있게 해석하고, 실천적 통찰로 연결합니다. jupyeongan의 인사이트 아카이브.

  • 2025. 4. 6.

    by. jupyeongan

    목차

      K-뉴딜과 첨단전략산업법, 대한민국 산업의 다음 승자는?

      1. 왜 ‘첨단전략산업’에 주목해야 하는가?

      한국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중심의 ‘제조강국’으로 불려 왔지만, 2020년대 들어 산업 생태계 전환이 본격화되고 있다. 정부는 이를 위해 K-뉴딜(디지털+그린)과 첨단전략산업법을 양축으로 삼아, 반도체·이차전지·바이오·우주항공·첨단소재 등 미래 산업군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선언했다.

      2023년 8월, 정부는 '첨단전략산업 육성 및 보호법'을 본격 시행하며 ▲세제 혜택 ▲규제 완화 ▲인재 양성 ▲국가산단 조성 등을 빠르게 추진 중이다.

      2. 산업 구조 변화: ‘수출 중심’에서 ‘기술 국방’으로

      첨단전략산업법은 단순히 산업을 육성하는 데서 끝나지 않는다. 핵심은 국가안보 차원에서 기술을 지키고, 공급망을 안정화하는 데 있다. 특히 반도체·배터리·우주·AI 분야는 지정학적 경쟁 속에서 ‘전략 무기’로 인식되고 있다.

      • 반도체: 국가첨단전략기술로 지정 → 세액공제 최대 25%
      • 이차전지: 소재 국산화에 수천억 투자 → 수출 주도형 산업으로 격상
      • 바이오: mRNA, 세포치료제 등 K-바이오 육성 전략 가속화
      • 우주항공: 누리호-다누리 연계한 민간 우주산업 기반 조성

      3. 유망 직종 5가지

      • 반도체 공정/설계 엔지니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R&D 센터 확장
        연봉 평균 5,800만 원 → 7,000만 원 이상
      • 배터리 소재 개발자
        양극재·음극재·전해질 등 핵심 소재 기업 중심 수요 폭증
        LG에너지솔루션 협력사 중심 고용 확대
      • 바이오 연구원 및 품질관리 전문가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생산 확대
        평택·오송 바이오클러스터 중심 채용 활발
      • 우주항공 시스템 설계자
        한국형 위성·로켓 개발 확대로 항공우주청 중심 수요 증가
      • AI 반도체 개발자(NPU, FPGA)
        차세대 AI칩 개발 주도, 디지털 뉴딜 핵심 인재

      4. 정책 수혜 기업 9선

      정책 지원과 수요 확대를 동시에 받은 실질 수혜 기업들을 살펴보자.

      단, 기업 실적의 단기적 부침보다는 정책이 만든 기술 자립 기반과 장기 전략의 맥락에서 해석해야 한다.

      1. 삼성전자
        - 반도체 파운드리 확대
        - 첨단전략기술 지정으로 세액공제 수혜
        - 2024년 R&D 투자: 약 35조 원
      2. SK하이닉스
        - HBM3E 양산
        -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입주
        - 2024년 3분기 영업이익: 7조 원
      3. LG에너지솔루션
        - 세계 2위 이차전지
        - 미국 ESS 배터리 공장 설립 추진
      4. 에코프로비엠
        - 양극재 기술력 확보
        - 일시적 매출 둔화 속 국산화 기반 강화
      5. 셀트리온
        -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확대
        - 2024년 매출: 3조 5,600억 원
      6.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누리호 제작 및 달 탐사 추진
      7. LIG넥스원
        - 위성통신 기술 선도
        - 2024년 4분기 순이익 46.8% 증가
      8. 알테오젠
        - ALT-B4 기술로 MSD와 계약 체결
      9. 한미반도체
        - 후공정 장비 국산화 주도
        - 영업이익률 46%

      5. 수혜 전과 후: 변화의 해석

      정책 도입 이후 일부 기업의 실적이 단기적으로 흔들린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이는 글로벌 경기 둔화나 원자재 가격 하락 등 외생 변수의 영향이며, 정책이 구축한 기술 자립 기반과 설비 확장 흐름은 여전히 견고하다. 이제는 숫자가 아닌 ‘전략의 방향성’에 주목해야 할 때다.

      기업명 정책 시행 전 정책 시행 후
      삼성전자 파운드리 비중 20% 점유율 8.1%로 하락했지만 신규 투자 지속
      에코프로비엠 매출 8,500억 매출 2조 7,700억 원, 기술 투자 지속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수출 1위 FDA 승인 후 글로벌 확대 중
      LG에너지솔루션 글로벌 3위 미국 ESS 생산 계획으로 확장 준비

      6. 투자 리스크 포인트

      • 기술 집중도 리스크: 소수 대기업에 정책 쏠림
      •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원재료 대부분 해외 의존
      • 정책 지속성 불확실성: 정권, 예산 이슈
      • 밸류에이션 과열: 기대감 선반영된 기업 다수

      7. 한국 산업의 미래는 ‘전략’에서 시작된다

      K-뉴딜과 첨단전략산업법은 단순한 지원책이 아니다. 이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설계하는 산업 설계도다.

      정책의 흐름을 읽고, 그 안에서 실질적 수혜를 받고 있는 기업과 기술을 선별하는 것이 투자자의 핵심 전략이다.

      👉 다음 글에서는 인도, 베트남 등 신흥국 산업정책 분석으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