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2025년 5월 1일, 대법원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 결정을 내렸다.
6월 3일 대선을 약 한 달 앞둔 시점에서 내려진 이 결정은 정치권과 유권자들에게 큰 파장을 던지고 있다.이번 글에서는 대법원 판결의 의미, 당선 무효 가능성, 대통령 당선 후 영향까지 핵심 쟁점을 정리한다.
🔍 대법원 판결 요약 – 유죄 취지 파기환송이란?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2심에서 무죄를 선고한 판결에 대해 “법리 오해”가 있었다며 이를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으로 돌려보냈다.
즉, 대법원은 “무죄는 잘못된 판단이며, 유죄로 봐야 한다”는 강한 메시지를 보낸 것이다.쟁점이 된 발언은 다음과 같다:
- “김문기 전 처장을 몰랐다”는 주장
- “백현동 용도변경은 국토부 협박 때문”이라는 답변
이재명 후보가 대선 후보 시절에 한 이 두 발언이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에 해당한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이다.
⚖️ 유죄 확정 시, 당선 무효 가능성은?
만약 대통령에 당선이 됐다면... 결론부터 말하자면, 유죄가 확정되면 당선이 무효화될 수 있다.
항목 내용 적용 법률 공직선거법 제250조 (허위사실공표죄) 기준 형량 벌금 100만 원 이상 형 확정 시, 당선 무효 시기와 무관함 당선 이후라도 유죄 확정 시 대통령직 박탈 가능성 헌법상 소추 제한 대통령은 재직 중 형사소추 금지 (헌법 제84조), 하지만 선거법 위반은 예외 가능성이 큼 헌법 제84조는 “대통령은 재직 중 형사소추되지 않는다”라고 규정하고 있지만, 선거법 위반은 대통령이 되기 전의 범죄로 보고 예외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다수 견해다.
따라서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에도 유죄가 확정되면 당선 무효가 될 가능성이 충분하다.
🗳️ 이재명은 계속 출마 가능한가?
그렇다.
현재는 대법원이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 결정을 내린 단계이며, 아직 유죄가 확정된 것은 아니다.대한민국 헌법은 ‘추정 무죄 원칙’을 적용하고 있고, 공직선거법도 최종 판결이 나기 전까지는 피선거권이 유지된다.
이재명 후보는 이미 민주당 경선을 통해 89.77%의 득표율로 대선 후보로 확정됐으며,
현재 “국민의 뜻이 가장 중요하다”며 선거운동을 이어가고 있다.
🧨 대선에 미치는 파장은?
- 사법 리스크가 대선의 핵심 쟁점으로 부상
- 국민의힘은 “즉각 후보 사퇴해야 한다”며 강하게 공세
- 유권자들 사이에서도 “당선 이후 무효 가능성”에 대한 혼란 확산
- 대선 후 유죄 확정 시 당선 취소라는 초유의 사태 발생 가능
이는 단순한 한 후보의 문제가 아니라, 정권 정당성 문제로 번질 수 있는 사안이다. 유권자 입장에서도 심각한 정치 불확실성에 직면할 수 있다.
🔚 정리하며 – 정치와 사법의 경계에서
이재명 후보에 대한 이번 유죄 취지 파기환송 결정은 단순한 재판 결과가 아니다.
대한민국의 법치주의, 선거제도, 헌정질서까지 시험대에 오르게 만든 중대 사건이다.이번 판결로 인해 유권자들은 대선 후보의 자질뿐 아니라,
당선 이후 정권 유지의 안정성까지 함께 고민해야 하는 시대에 놓이게 되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정치경제학 > 2025년 대선과 공약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 대선 소수정당 후보 정리 – 진보당 김재연, 새미래민주당 정동영의 공약은? (0) 2025.05.04 🟢 2025 대선 정의당 후보 권영국, ‘가능한 진보’를 말하다 (0) 2025.05.03 이재명 사법 리스크, 대선 판도 흔들까?|5월 1일 대법 선고 앞두고 보는 핵심 쟁점 (0) 2025.04.30 2025 대선 흐름 분석 – 한덕수 총리 대행 출마설과 "미국이 밀면 대통령 된다"는 말의 과거와 현재 (0) 2025.04.26 2025 대선 테마주 총정리 – 유력 후보 공약으로 본 산업별 수혜주 흐름 (정치경제학적 해설) (0) 2025.04.20